총괄결과
- 대학 핵심성과지표 목표대비 총괄 결과
- 2012년 자체평가 대학 핵심성과지표 목표대비 달성결과에서 84.6%의 성과 결과를 보였고, 전체 13개 핵심성과지표 중에서 전임교원확보율, 교육비환원율, 신입생충원율(정원 내), 공인자격증 취득 향상도, 외국어능력 향상도, 산업체만족도, 산학협력수익률 등 총 7개 지표에서 A등급을 취득하여 53.7%를 나타냈으나, 건보DB 취업율, 실험실습기자재 및 재료지원, 장학금지급율 등은 C등급으로 23.1%의 결과를 보여 향후 지속적으로 성과지표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됨
- 대학 자체평가 전체성과지표 목표대비 총괄 결과
- 2012년 자체평가 전체성과지표 목표대비 달성결과에서 전체 2,074점을 획득하여 81.0%의 성과 결과를 보였고, 전체 94개 핵심성과지표 중에서 총 40개 지표에서 A등급을 취득하여 42.6%를 나타냈으나, D등급과 E등급이 각 4개로 4.3%의 결과를 보여 향후 지속적으로 성과지표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됨
- 2012년 자체평가 전체성과지표 목표대비 달성결과 중, 전략과제별 분석결과에서 B2 특성화 프로그램을 통한 취업률재고가 90.0%로 가장 높은 성과를 나타냈으며, 그 외 C1 광양만권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축 D2 대학행정시스템의 효율성 재고, D3 내부구성원/고객만족도 제고 , A1 광양만권 브랜드대학 육성, D1 스마트교육환경 구축, B1 현장맞춤형 교육체계 구축, A2 차별화된 입시체계 구축, 및 C2 전략사업 발굴을 통한 재원확보의 순으로 성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핵심전략방향별 분석결과에서 특성화사업 프로그램이 87.0% 가장 높은 성과률 나타냈으며., 그 외 대학운영체제의 고도화, 브랜드대학 육성 및 선도적 산학협력체제 강화의 순으로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
활용방안

- 비전 2019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과 연계한 전략 수립
-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의 성공적 달성을 위하여 자체평가 결과를 통해 나타난 장, 단점, 기회, 위기 요소들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러한 요소들을 지속적으로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에 반영하는 시스템 확립 필요
- 현실적 대학위치 인식 통한 목표인식 및 달성의지 자극
- 자체평가를 통해 나타난 지표 결과를 토대로 우리대학의 상대적 경쟁력이나 객관적 수준을 내부 구성원들과 함께 공감하여 대학 운영에 있어 미래지향적이고 자발적인 발전 전략 추구
- 지표관리 통한 대학 경쟁력 강화 마련
- 지속적 대학발전 트랜드에 부합된 지표 개발 및 검정과 함께 도출되는 지표 결과를 토대로 대학 내부의 자원 배분 등을 실시하여 결과적으로 지표값 상승으로 인한 대학과 학과의 경쟁력 강화 토대 마련
- 행정체계 개선 및 효율적 예산 분배
- 자체평가 결과를 통해 대학경영 개선, 교육 인프라 구축 및 건전 재정 운용을 위한 행정체제 개선 자료 사용
- 자체평가 결과를 통해 예산을 재배분하고 학과 및 관련 부서에 효율적인 예산 집행
- 효율적인 평가시스템 구축 기여
- 자체평가 결과를 교직원의 업적 및 직무평가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효과적인 평가시스템 구축 확립 지속적 노력
저작자표시-비영리-변경금지원저작자를 밝히는 한 해당 저작물을 공유 허용, 정보변경 불가, 상업적으로 이용불가